대한전자공학회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개요·연혁

개요

우리 학회는 1946년 11월 26일 “대한전기통신학회”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으며 초대회장에 황 갑성 체신부 전문국장이 취임하였다. 이를 모태로 6.25사변 등 건국 초기의 혼란을 거치는 동안에도 명맥을 유지하였으며 다시 전자 정보 통신 및 그 관련 분야에 관한 학술과 기술의 진흥과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1963년 4월에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로 개칭하고 전자공학회지 창간과 사단법인 설립허가를 취득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우리 학회의 설립 목적은 “전자, 정보, 통신 및 그 관련 분야에 관한 학술 및 기술의 진흥과 발전에 공헌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업을 행하는 것”으로 정관에서 밝히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학회의 주된 사업내용으로는 국내 및 국제 학술발표회, 단기강좌, 세미나, 강연회 개최등의 학술사업과 학술논문집, 학회지, 도서 및 기술 정보지 발간 사업 그리고 학술적, 기술적 연구 사업 및 표준규격의 제정 등이 있다.

학회의 원활한 활동을 위하여 회원중에서 평의원을 선출하며 평의원들로 구성된 평의원회의에서 회장단(회장 1명, 수석부회장 1명, 선출직 부회장 3명)과 임원을 선출한다. 학회기구로는 회장단을 포함한 이사회에서 학술, 사업, 편집, 회원관리 등 주요 사업을 처리하고 24개의 위원회와 연구회, 12개의 지부, 그리고 6개 소사이어티와 이에 소속된 전문분야별 42개의 연구회가 각기 고유 학회 활동을 기획 수행하고 있다.

우리 학회의 재적 회원수는 42,166명(2025. 1 현재)이며, 창립 79주년이 되는 명실 공히 대한민국의 IT 분야 最大, 最高의 학회임을 자부하고 있다.

연혁

2024
  • IEIE Fellowship 제정 및 제1회 대상자 선정
  • 국내에서 개최하던 ICCE-Asia를 해외에서 최초 개최 (베트남)
  • 2022년/2023년에 이어 하계종합학술대회에 2천명 이상 참가
2023
  • 반도체 패키징 발전전략 심포지움 결성 및 주관기관 역할 수행 (심포지움 개최 등)
  • 코로나 19 이후 ICEIC 국제학술대회의 해외 개최(싱가포르) 재개
  • “학술활동 우수학회(과기정통부장관상)” 및 국문논문지 “우수등재 학술지”로 선정
2022
  • 국내 ICT 유관기관들(정부, 유관기관, 기업 및 연구소)과 MOU 체결 및 협력 강화
  • (특히 중소기업청과 스케일업팁스 사업 MOU 체결) * 학술단체로 유일하게 참여
  • IEEE Consumer Technology Society 회장 방문 및 MOU 체결 갱신
2021
  • IEIE Forum (총 6회 유튜브 방송) / 전문기술연구팀 (11개팀, 500만원씩 지원)
  • 29개 특별회원의 유치 및 서비스 증진 (홍보기회 확대 및 성공멘토링 참여 등)
  • JSTS Journal Letter 신규 발간 / SPC XML 신규 구축
2020
  • “학술 활동 우수학회”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 새로운 기관들과 다양한 형태의 상호협력 (한국과학기술지원단, 멀티캠퍼스, 파이낸셜뉴스 등)
  • 40대 연구자를 위한 "IEIE Research Pioneer Award" 신설 및 제1회 시상
2019
  • ICEIC 2019 (뉴질랜드), ITC-CSCC 2019 (제주 신화월드) 개최
  • 하계종합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 개최
  •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강원도 라카이 샌드파인 리조트) 개최
2018
  • IEEE SPC 영문논문지, Scopus(세계적인 논문색인 기구) 등재
  • 전자공학회논문지(국문지), 한국연구재단 “우수학술지”로 선정
  • 제 2회 ICCE-Asia 개최 (6.24-26, 제주 라마다플라자호텔)
2017
  • 기술워크샵 및 종합학술대회 튜토리얼 동영상 쵤영 및 네이버 서비스 개시
  • 정부의 비영리기관 과제 강화 방침에 따른 학회 회계시스템 구축 및 운영
2016
  • ICEIC 2016 (베트남 다낭), 제 1회 ICCE-Asia (서울 COEX) 개최
  • 학회 창립 70주년 사업 전개 (언론 홍보/ 70년사 발간/ 기념행사 개최 등)
2015
  • ICEIC 2105 (싱가포르), ITC-CSCC 2015 (서울 그랜드힐튼호텔) 개최
  •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를 대학교가 아닌 "오크밸리"에서 개최
2014
  • 해동자료실 설치(과학기술회관 본관 610호), 일본자료 열람 및 회의 등으로 활용
  • IEEE CE Society의 "ISCE(International Symposium on Consumer Electronics)" 유치, 개최
2013
  • 전자공학회논문지, 교육과학기술부 구독·활용·평판·선호도 평가 종합 1위
  • 학회 영문명칭을 IEIE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로 변경
2012
  • ICEIC 2012 개최 (정선 하이원리조트)
  • 미국 IEEE CE Society와 ICEIC 개최 Technical Co-sponsorship에 관한 MOU 체결:
    IEEK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 Computing (IEEK SPC) 창간
  • 종전 6종의 국문논문지 통합, 온라인 발간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2011
  • JSTS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의 SCIE 등재
  • ITC-CSCC 2011 개최 (제주, 25회)
  • 제 6회 IEEK-IEEE Joint Award 시상 (하계종합학술대회와 병행)
2010
  • ICEIC 2010 개최 (필리핀 세부)
  • 제 5회 IEEK-IEEE Joint Award 시상 (하계학술대회와 병행)
  • 영국 IET(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와 업무 협약 체결
2009
  • 2009 ITC-CSCC 2009 개최 (제주, 23회)
  • 제 4회 IEEK-IEEE Joint Award 시상 (정기총회/추계학술대회와 병행)
  • 중국전자학회(The Chinese Institute of Electronics)와 MOU 체결
2008
  • ICEIC 2008 개최 (우즈베키스탄, TUIT)ㆍ제 3회
    IEEK-IEEE Joint Award 시상 (정기총회/추계학술대회와 병행)
  • 학회 사무실 및 회의실 환경 개선(노트북, 대형 PDP, 사무실 집기 등 교체)
2007
  • ITC-CSCC 2007 개최 (22회)
  •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과 협력사업 전개(기술력 평가부문)
2006
  • 국제학술 교류를 위한 외국방문(평양, 터키, 동경)
  • 전자수출 1,000억불 달성 산업자원부로부터 공로패 수여ㆍJoint Award
    제 1회 시상식 개최(12.15)
2005
  • 20주년 기념 ITC-CSCC 개최(제주 신라호텔) * 논문 830여편 발표
  • IEEE와 Joint Award MOU 체결
2004
  • ICEIC 2004를 베트남에서 개최
2003
  • 하계종합학술대회 개최 : 논문 730편 접수
  • 소사이어티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사이어티 추천 평의원 42명을 최초로 선출
2002
  • ICEIC 2002를 몽골에서 개최, 학회기 및 지부기 제작
  • 제 1회 청소년 이공계 엑스포에 참가 이후 매년 참가
2001
  • 소사이어티 설립 및 추계학술대회 개최(각 소사이어티별)
  • JSTS 반도체 분야 영문논문지 창간
2000
  • 논문집 분리(TC편/SD편/CI편/SP편/TE편)
  •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선정(A등급)
1999
  • 일본 전자정보통신학회(IEICE)와 회장 상호방문 합의
  • 홈페이지(www.ieek.or.kr) 오픈 및 영문명칭을 IEEK로 변경
1997
  • 논문지 분리(S편, D편, C편, T편)
  • ICVC 1997 및 제 2회 CDMA 국제학술대회 개최
1996
  • 유관 6개 학회가 공동으로 연합영문지(JEEIS) 발간, 호서지부 신설
  • 학회 50년사 발간 및 50주년 기념식 개최
1991
  • 논문지 분리(A편, B편)ㆍ제1회 ICEIC가 중국 연변에서 개최
1990
  • 영문 논문지 발간(KITE Journal of Electronics Engineering)
  • 해동상 제정 및 제 1회 시상, 제 1회 전자공학교육세미나 개최
1989
  • ICVC 1989 국제학술대회 개최ㆍHDTV
    국제세미나 및 AFMW 국제세미나 개최
1988
  • 전자전기종합학술대회 개최(전기학회와 공동 개최)
  • JC-CNSS 1988 및 JC-MECOD 1988 개최
1987
  • 영문명칭을 KITE로 변경
  • TENCON 1987 개최(IEEE 10개 지역)
1986
  • 제1회 JTS-CAS(현 ITC-CSCC) 개최
  • 광주전남지부, 강원지부, 제주지부, 충북지부, 일본지부 설립
1985
  • SISEE 1985 공동 개최(일본 전자통신학회, 중국 전기학회)
  • 대만 전기공정학회와 상호협력과 학술교류 협정
1983
  • 일본 전자통신학회와 우호협력 협정
1977
  • 과학기술회관 사무실 입주
1976
  • 대전충남지부 설립ㆍ주무 관청이
    문교부에서 과학기술처로 이관 승인
  • 초대 평의원 선출(직선 40명, 간선 20명)
1974
  • 대구경북지부 설립
1973
  • 부산경남지부 설립
1971
  • 10개 전문분과 확대설치 및 학회 상징 배지(휘장) 제정
1970
  • 서울국제전기전자학술회의 개최
1969
  • 학회상 제정 및 제 1회 시상
1968
  • AEU 정회원 가입 승인(과기처장관)
1965
  • 영문명칭을 IEIE로 개칭
  • 통신전자기술전문위원회의 6개 분과 설치
1964
  • 사단법인 대한전자공학회 문교부장관 인가, 법원 등기
1963
  • 대한전자공학회(KEES)로 개칭 및 전자공학회지 창간
  • 제 2차 아시아 전자회의(AEC) 한국대표 파견
1946
  • 대한전기통신학회 설립(종로2가 YMCA 별관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