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행 사 명 | 9th 2022 IoT Technology & Business 포럼(부제: 자율주행차) |
일 시 | 2022년 9월 14일(수) 오전 9시~오후 5시 30분 |
장 소 | ON-LINE |
주 최 |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
주 관 | 성균관대학교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혁신인재 양성사업단, LIN3.0사업단 산학밀착형 loT 반도체시스템융합인력육성센터, 차세대시스템반도체인력양성사업, 산학밀착형 인공지능 반도체 융합인력 양성 사업단, 산학밀착형 차세대 반도체 융합인력 양성 사업단, 아날로그RF회로및시스템연구센터,인공지능대학원,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렉션 빅데이터 교육연구단 AI-Digital Health Care 연구센터 한국반도체산업협회 |
후 원 |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 AI IoT 교육지원센터 Telechips, Semifive, SKAIChips, SiliconArts, Furiosa |
웹사이트 | http://iotbiztech2022.ieieweb.org |
초대의 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주요 기술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기술을 뽑자면 IoT(사물인터넷)과 AI(인공지능)을 말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IoT의 연결성에 AI의 초지능이 결합된 AIoT(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지능형 사물인터넷 시대 입니다.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장 정민영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이창한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회장 김진상 성균관대학교 미래형자동차 기술융합 혁신인재 양성사업단장 전재욱 포럼 운영위원장 김용석 |
운영위원장 | 김용석 교수(성균관대) |
운영위원 | 이강윤 교수(성균관대), 유재희 교수(홍익대), 최중호 교수(서울시립대), 김정래 교수(성균관대), 홍석인 교수(성균관대), 황재현 교수(성균관대), 김소영 교수(성균관대), 한재덕 교수(한양대), 유재천 교수(성균관대), 김경기 교수(대구대), 이재욱 교수(서울대), 양준성 교수(연세대), 이광엽 교수(서경대), 김지훈 교수(이화여대), 박우찬 교수(세종대), 이지형 교수(성균관대), 국태용 교수(성균관대), 송재천 교수(성균관대), 이선영 교수(성균관대), 전재욱 교수 (성균관대), 정상용 교수 (성균관대), 황성호 교수(성균관대), 정재훈 교수(성균관대), 김병성 교수(성균관대), 김장현 교수(성균관대), 조명현 대표(세미파이브), 이장규 대표(텔레칩스), 윤형민 대표(실리콘아츠), 백준호 대표(Furiosa AI) |
![]() |
이재관 박사 (한국자동차연구원)
최근 자율주행차에서 1) 인공지능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고 데이터 처리와 소프트웨어 개발은 자동차 내부에서 외부로 확대, 2) 차량제어만이 아니라 커넥티드 디바이스·서비스와 융합된 미래형 이동체로 발전, 3) 자동차-인프라 정보융합이 자율주행차의 성능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앞으로 자율주행차의 경쟁력은 자동차를 만드는 기술력 보다 사회와 공존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신개념 이동체로서의 역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적 수준의 자동차, ICT, ITS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충분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이 중대한 기회이자 위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중대한 변화의 기로에서 민관 협력, 업종 융합, 인프라 및 법제도 정비를 통해 국가역량을 결집할 수 있는 패키지형 전략이 시급하다. |
09:00~09:40 ■ 접수 및 안내 | |
09:40~09:45 ■ 개회사 |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회장 김진상 |
09:45~09:50 ■ 환영사 |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장 정민영 |
10:00~10:30 ■ [Keynote] 자율주행차량이 가져올 미래의 변화 | 한국자동차연구원 이재관 박사 |
10:30~11:00 ■ 자율주행기술동향 | 한국자동차연구원 이재관 박사 |
11:00~11:20 ■ COFFEE BREAK | |
11:20~11:50 ■ 완전자율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 | KETI 민경원 팀장 |
11:50~12:20 ■ 자율주행을 위한 4D Radar의 인공지능 연구와 동향 | KAIST 공승현 교수 |
14:00~14:30 ■ Deep Learning Based Efficient 3D Vision Processing for Autonomous Vehicles | 성균관대 고종환 교수 |
14:30~15:00 ■ 저전력-고신뢰 자율주행 트랜스포머 신경망을 위한 차세대 PIM AI NPU 기술 | ETRI 권영수 팀장 |
15:00~15:30 ■ 자율협력 주행을 위한 차세대 차량통신 기술 | KETI 임기택 센터장 |
15:30~15:50 ■ COFFEE BREAK | |
15:50~16:20 ■ 자율주행 시스템을 위한 GPU 기술동향 | 실리콘아츠 윤형민 대표 |
16:20~16:50 ■ 미래차를 위한 Software Defined Vehicle | 페르세우스 서상범 대표 |
16:50~17:20 ■ Digital Transformation and Simulation in Automotive Industry | IPG Automotive Korea, 연구소장 윤종민 박사 |
17:20~17:30 ■ 워크숍 폐회 | 김용석 운영위원장 |
구분 | 학생 | 일반 |
사전등록 | 150,000원 | 200,000원 |
현장등록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사전등록마감 | 2022년 9월 13일(화) 18시 |
결제 방법 | ㆍ온라인카드결제 및 계좌이체 |
입금계좌정보 | ㆍ입금계좌: 1010-2143-7671 수협 또는 186-00027-241 한국씨티은행 ㆍ예금주: 대한전자공학회 |
참고청구문서 | ㆍ 대한전자공학회 사업자등록증 사본 (클릭 다운로드 -PDF) ㆍ 등록비 입금통장사본 (클릭 다운로드-PDF) |
등록방법 및 기타안내 |
ㆍ 본 워크샵(세미나)는 고용노동부 지원교육 환급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 일부 발표자료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결제방법 | 카드영수증 | 계산서(전자) | 거래명세서 |
카드결제 | 가능(온라인 출력) | 불가능(이중발급) | 기본발행 |
계좌이체무통장 결제 | 불가능 | 가능(전자) | 기본발행 |
(우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1관 907호)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1685/(사)대한전자공학회 대표 : 백광현
TEL. 02-553-0255~7/ FAX. 02-562-4753 /EMAIL. ieie@theieie.org
COPYRIGHT ⓒ IEI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