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연사 | 강연 요약 및 연사정보 |
![]() 전병기 상무 (LG유플러스) |
LG유플러스의 AI 및 Data 기술 적용 사례
LG유플러스는 고객의 피드백 데이터로 Product를 개선하고 운영하는 AI와 Data 중심의 Software Company로 진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AI/Data 기술을 Product에 접목해 가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각 도메인 별 최신 AI 기술을 활용하여, LG유플러스 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한 Product 사례를 소개한다. 첫째, IPTV OTT 통합 검색이나 미디어/커머스 개인화 추천 등의 B2C 사례와, AICC (AI Contact Center)를 포함하는 B2B 사례를 소개한다. 둘째, 미래 준비를 위하여 지속 발굴하고 있는 AI 선행기술을 소개하며, 끝으로, LG그룹의 초거대 AI 모델인 EXAONE을 활용하여 LG유플러스 AI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시도를 공유한다. |
![]() 고성제 교수 (고려대학교) |
인공지능 기반 의료 영상 분석을 통한 비뇨기 암 진단
전립선암 및 신장암 등의 비뇨기 암을 의료 영상 판독을 통해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나, 의사 간 편차가 존재 하는 등 판독 오차가 빈번하게 발생함.
병원 내 축적된 대량의 환자 데이터 (병리 또는 CT 등) 를 활용하면 인공지능의 학습이 충분히 가능하고, 암 진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따라서 비뇨기암(전립선암 또는 신장암)의 자동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신장암의 경우 전문의와의 진단 성능을 비교하여 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하는 것을 보임. |
![]() 문영식 교수 (한양대학교) |
신호처리와 음악
신호처리 기술은 음성, 영상, 비디오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1차원 신호인 소리에 대해서, 신호처리 기법이 음악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소리 파형의 주파수와 음 높이와의 관계, 음계의 구성,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한 음악의 정량적 분석, 향후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음악에 활용 등을 살펴본다.
|
연사 | 강연 요약 및 연사정보 |
![]() 정희철 교수 (경북대학교) |
Self-supervised Learning in Computer Vision
최근 computer vision 분야에서 물체 인식, 검출, 분할 등 다양한 태스크에서 딥러닝 기법을 통해 높은 인식률의 달성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들은 많은 레이블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많은 학습 데이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고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다양한 self-supervised learning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이러한 self-supervised learning의 기본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제안된 기법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 강석주 교수 (서강대학교) |
딥 뉴럴 네트워크 경량화 및 가속화 기술
최근 딥 뉴럴 네트워크의 성능은 크게 향상되었지만, 많은 에너지 소모와 하드웨어 리소스 필요로 인해 다양한 응용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모바일 환경의 시스템 적용을 위해서는 기존 성능은 유지하면서 경량화된 모델과 고속 연산을 위한 하드웨어 구조가 필수적이다. 네트워크 경량화 및 가속화 기술은 성능은 가능한 유지하면서 모델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설계 기술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네트워크 구조 최적화, 양자화와 같은 기술 적용이 매우 필요하다. 본 강연에서는 효율적인 딥러닝 모델을 위한 경량화 및 고속 연산을 위한 방법론을 살펴보고 현재 연구팀이 진행 중인 관련 연구를 간략히 소개한다.
|
DAY 1 (9.29 목요일) |
||||||
시간 | 장소: 이삼봉홀 | 좌장 | 장소: ECC 극장 | 좌장 | ||
09:45-10:30 | 45분 | 학회 등록 |
구두발표 1 (3편) | 민동보 | 구두발표 2 (3편) | 조성인 |
10:30-11:00 | 30분 | 개회식 | 송병철 민동보 |
세션없음 | ||
11:00-11:30 | 30분 | 초청강연 1 고성제 교수 (고려대) |
세션없음 | - | ||
11:30-12:00 | 30분 | 초청강연 2 문영식 교수 (한양대) |
||||
12:00-12:30 | 30분 | 우수신진연구자 발표 김승룡 교수 (고려대) |
||||
12:30-13:50 | 80분 | 점심 | ||||
13:50-14:40 | 50분 | 포스터 spotlight 1 - 구두 발표 (15편) |
이채은 | 포스터 spotlight 2 - 구두 발표 (15편) |
황원준 | |
14:40-15:40 | 60분 | 튜토리얼 1 강석주 교수 (서강대) |
튜토리얼 2 정희철 교수 (경북대) |
|||
15:40-16:10 | 30분 | Break Time | ||||
16:10-17:10 | 60분 | 신진연구자 발표 1 최상호 교수 (광운대) 황성재 교수 (연세대) 임홍기 교수 (인하대) |
김원준 | 세션없음 | - | |
17:10-18:10 | 60분 | 포스터 spotlight 1 - 포스터 (15편) |
민동보 | 포스터 spotlight 2 - 포스터 (15편) |
고병철 |
DAY 2 (9.30 금요일) |
||||||
시간 | 장소: 이삼봉홀 | 좌장 | 장소: ECC 극장 | 좌장 | ||
10:00-10:40 | 40분 | 학회 등록 |
SPC 세션 1 (2편) | 고병철 | SPC 세션 2 (2편) | 최강선 |
10:40-11:10 | 30분 | 초청강연 3 전병기 상무님 (LG유플러스) |
세션없음 | - | ||
11:10-12:10 | 60분 | 신진연구자 발표 2 진경환 교수 (DGIST) 최준석 교수 (서강대) 박상욱 교수 (강릉원주대) |
장길진 | 세션없음 | - | |
12:10-13:40 | 90분 | 점심 | ||||
13:40-14:25 | 45분 | 구두발표 3 (3편) | 우명균 | 구두발표 4 (3편) | 이석진 | |
14:25-15:20 | 55분 | 포스터 spotlight 3 - 구두 발표 (15편) |
포스터 spotlight 4 - 구두 발표 (16편) |
|||
15:20-15:40 | 20분 | Break Time | ||||
15:40-16:40 | 60분 | AI/SP 학회/저널 세션 1 (3편) | 황원준 | AI/SP 학회/저널 세션 2 (3편) | 정승원 | |
16:40-17:40 | 60분 | 포스터 spotlight 3 - 포스터 (15편) |
포스터 spotlight 4 - 포스터 (16편) |
|||
17:40-18:10 | 30분 | 폐회식 및 경품추첨 |
연사 | 강연 요약 및 연사정보 |
![]() 김승룡 교수 (고려대학교) |
On the Dense Matching in a Deep Learning Era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핵심적인 분야 중에 하나인 영상 정합은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의 발달에 힘입어 그 성능이 극대화되고 있고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별히 조밀한 영상 정합(Dense Matching) 기술은 그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 하지만, 내재적인 도전성을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조밀한 영상 정합이 가지고 있는 도전성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신 조밀한 영상 정합 기술들을 소개한다. 또한 이러한 기법이 다양한 적용 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해 보고자 한다.
|
연사 | 강연 요약 및 연사정보 |
![]() 최상호 교수 (광운대학교) |
Signal Processing and Neural Networks Applied to Sleep Studies
수면은 건강을 유지하고 회복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이러한 수면을 모니터링하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법은 건강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강연에서는 수면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생체신호 기반의 수면 모니터링 및 수면 질환 검출과 관련된 연구들을 소개한다. 또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수면 모니터링 및 질환 검출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 황성재 교수 (연세대학교) |
Towards robust multi-site neuroimaging analyses and applications Modern neuroimaging studies often combine data from multiple scanners and acquisition protocols. Such collection of data may contain substantial technical variability which lead to erroneous neuroimaging analyses and underwhelming application outcomes. I will discuss our recent works which overcome these challenges with computer vision techniques.
|
![]() 임홍기 교수 (인하대학교) |
Deep-learning based image reconstruction and analysis methods for low
signal-to-noise ratio emission tomography Image reconstruction in low-count PET is particularly challenging because gammas from natural radioactivity in Lu-based crystals cause high random fractions that lower the measurement signal-to-noise-ratio (SNR). In model-based image reconstruction (MBIR), using more iterations of an unregularized method may increase the noise, so incorporating regularization into the image reconstruction is desirable to control the noise. New regularization methods based on learned convolutional operators are emerging in MBIR. We propose the architecture of a iterative neural network, BCD-Net for PET MBIR, and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e trained BCD-Net using XCAT phantom data that simulates the low true coincidence count-rates with high random fractions. Then we further extended the method to build a framework performing joint reconstruction and segmentation tasks. Most existing fully-automatic or semi-automatic medical imaging segmentation methods start from reconstructed image, but a joint segmentation and reconstruction framework is well-suited because both tasks can be mutually dependent, therefore better estimation in one task can benefit the other. We propose to perform joint PET image reconstruction and fully automatic segmentation (using PET and CT information together) assuming that the CT image is given. Quantitative evaluation result with simulated low-count PET shows that our proposed joint framework improves the performance compared to single-modality reconstruction (PET only) and segmentation (CT only).
|
![]() 진경환 교수 (DGIST) |
Fourier 함축표현 인공지능망의 영상처리 기법
최근 인공지능망 기반의 함축표현함수(implicit neural representation, INR) 기법의 개발로 다앙한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함축표현함수의 스펙트럼 편향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Fourier 표현 모듈을 제안함으로써, 초고해상도 영상화 및 영상 워핑에서의 성능향상을 데모하고 그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
![]() 최준석 교수 (서강대학교) |
On the evaluation of the weakly-supervised learning methods
본 강연에서는 최근 기계학습 기술들의 성능 평가 방법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본 후, 그 중에서도 weakly-supervised learning 방법들의 성능 평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다룬다. 주어진 태스크에 비해 부족한 정보를 활용하여 학습하는 weakly-supervised learning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평가 방법 설정의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 기술들의 접근법, 나아가 이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 이를 기반으로 weakly-supervised learning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소개한다.
|
![]() 박상욱 교수 (강릉원주대학교) |
차세대 능동소나시스템 개발을 위한 생체 모방 네트워크
능동소나시스템은 공간에 방사된 음파의 반향음을 분석하여 시스템을 둘러싼 공간을 인지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능동소나시스템은 탐지 대상까지 거리와 방향을 추정함으로써, 물체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지만, 그 종류를 식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능동소나시스템의 응용기술에서 여러가지 아쉬움과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탐지 대상의 위치뿐만 아니라 그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차세대 능동소나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한편, 박쥐는 생체소나를 사용하여 주변 공간을 인지함으로써, 먹이를 사냥하고 비행 중 다른 개체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이는 박쥐의 생존에 아주 중요한 능력으로, 박쥐는 반향음에 포함된 공간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한다. 이러한 점에서, 박쥐의 청각인지 능력을 모방한 생체모방 모델은 차세대 능동소나시스템 개발을 위한 한가지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강연에서는 박쥐의 청각인지 특성을 모방한 생체 모방 모델에 관하여 1) 박쥐의 청각인지 특성 분석 2) 인공신경망 반응특성 분석 3) 생체 모방 모델 구축 4) 생체 모방 모델 활용방안을 차례로 소개한다. |
일정: 9.30 (금) 10:00-10:40 (이삼봉홀) |
SPC 세션 1 |
Fast Opto-Electrical Transformation of HDR Videos based on LUT of Piecewise Linear Approximation IEIE Tra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2020 발표자: 이종석 박사과정 (광운대) |
Optimizing TensorFlow Performance by Reconstructing the Convolution Routine IEIE Tra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2021 발표자: 최규현 박사 (KETI) |
일정: 9.30 (금) 10:00-10:40 (ECC 극장) |
SPC 세션 2 |
Bit width Reduction of Write Counters for Wear Leveling in a Phase-Change Memory System IEIE Tra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2020 발표자: 이효근 박사 (서울대 Inter-university Semiconductor Center 박사후연구원) |
Robust Optical Fingerprint Sensor to the Moisture Fingerprint IEIE Tra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2020 발표자: 백영현 소장 (유니온커뮤니티) |
일정: 9.30 (금) 15:40-16:40 (이삼봉홀) |
AI/SP 학회/저널 세션 1 |
ADAS: A Direct Adaptation Strategy for Multi-Target Domain Adaptive Semantic Segmentation CVPR 2022 발표자: 임성훈 교수 (DGIST) |
Representative Color Transformation for Image Enhancement ICCV 2021 발표자: 김한울 교수 (서울과기대) |
CATs: Cost Aggregation Transformers for Visual Correspondence NeurIPS 2021 발표자: 홍성환 박사과정 (고려대) |
일정: 9.30 (금) 15:40-16:40 (ECC 극장) |
AI/SP 학회/저널 세션 2 |
ViT-NeT: Interpretable Vision Transformers with Neural Tree Decoder ICML 2022 발표자: 김상원 박사과정 (계명대) |
An improved iterative neural network for high-quality image-domain material decomposition in dual-energy CT Medical Physics, 2022 발표자: 전일용 교수 (성균관대) |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metal and streak artifacts reduction in dental CT images with sparse-view sampling scheme Medical Physics, 2022 발표자: 백종덕 교수 (연세대) |
일정: 9.29 (목) 9:45-10:30 (이삼봉홀) | |
No. | 구두발표 1 |
1 | 얼굴 랜드마크 검출 성능 향상을 위한 디블러링 네트워크 |
2 | 롤 방향 회전각을 이용한 다중 얼굴 특징점 검출 개선 기법 |
3 |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한 안면 영상의 모션 블러 측정과 이를 추정하는 회귀 네트워크 |
일정: 9.29 (목) 9:45-10:30 (ECC 극장) | |
No. | 구두발표 2 |
1 | Feature Adaptation을 이용한 범용적인 Anomaly Detection 구현 |
2 | 경량 트랜스포머를 위한 Graph Head Attention |
3 | 자기주의 유도 확산 모델 |
일정: 9.29 (목) 13:50-14:40, 17:10-18:10 (이삼봉홀) | |
No. | 포스터 spotlight 1 |
1 | CNN 기반 수중영상 개선을 위한 새로운 컬러 보정 블록 |
2 | 저조도 영상개선을 위한 트랜스포머 기반 변환함수 추정 기법 |
3 | 적응적 3D 룩업 테이블 기반의 이미지 화질 개선 네트워크 |
4 | 햇빛 아래에서 향상된 시인성을 위한 Piece-wise Linear Enhancement Curves 기반 영상 개선 |
5 | 딥러닝을 이용한 외부 조도 아래에서의 시인성 향상 알고리즘 |
6 | 트랜스포머 기반 상호 관련성 추정을 통한 적외선 및 가시광선 영상 합성 기법 |
7 | 인공 신경망 학습을 위한 이미지 압축 기술 |
8 | 웨이블릿 영역 잔여 채널 프라이어를 이용한 단일 영상 비 제거 |
9 | 불확실성 조건부 정책을 활용한 분포외 상황에서의 자가 복귀 학습 |
10 | 단일 영상 비균일 블러 제거를 위한 변형 가능한 컨볼루션을 활용한 효율적인 U-Net 구조 |
11 | 영상의 공간 해상도 향상을 위한 그라디언트와 GAN 기반 커널 추정 알고리즘 |
12 | 강화된 조감도 표현방식을 이용한 단안 카메라 기반 3D 객체 검출 |
13 | 저장 패턴 기반 영상 정합 |
14 | 교류 전원의 진폭 정보를 이용한 색 항상성 기법에 Cross Attention 적용법 비교 |
15 | 초고해상도 CT 영상을 지도학습한 CT 영상 재구성 기술에 의한 관상동맥 CT 조영 영상의 화질 개선 |
일정: 9.29 (목) 13:50-14:40, 17:10-18:10 (ECC 극장) | |
No. | 포스터 spotlight 2 |
1 | 협동로봇을 활용한 조립공정의 워크벤치 데이터 분석 및 생산관리 시스템 구현 |
2 | 지식 증류 기반 멀티 터치 신호 분류 |
3 | 스파이크 데이터 기반의 DVS 데이터 최적 클러스터링 방법 분석 |
4 |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수 자동화를 위한 영상 처리 기반의 정량적 무라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
5 | 호흡 기반 FMCW를 이용한 차량 내 좌석 별 승객 유무 판정 시스템 |
6 | 사람 행동 인식을 위한 모션벡터 기반 고속 적응적 프레임 샘플링 방법 |
7 | YOLOv5를 활용한 상지 X-Ray 골절 검출 기술 |
8 | CNN 기반 초해상도 시 자연 영상과 그래픽스 영상간의 차이 분석 |
9 | Adaptive Gradient Clipping 기법을 적용한 양자화 학습 안정 |
10 | Temporal feature distillation을 이용한 영상 분해 기법 |
11 | 부분 인식 대조 학습을 이용한 도메인 적응형 3차원 객체 탐지 |
12 | 마스크화 된 일관성 규제를 통한 단안 깊이추정의 준지도 학습 |
13 | 스켈레톤 기반의 실시간 행동 인식을 위한 그래프 어텐션 네트워크 |
14 | 스켈레톤 그래프 기반의 행동 인식을 위한 자기-지도 대조 학습 |
15 | 조건부 확산 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이미지 역 문제 해결 기법에 관한 연구 |
일정: 9.30 (금) 13:40-14:25 (이삼봉홀) | |
No. | 구두발표 3 |
1 | AC 조명 환경에서의 반사광 제거를 위한 Cross-Attention 기법 |
2 | KNN Local Attention for Image Restoration |
3 | 멀티 카메라를 활용한 옵티컬 플로우 추정 |
일정: 9.30 (금) 13:40-14:25 (ECC 극장) | |
No. | 구두발표 4 |
1 | 비디오에서 깊이와 포즈의 공동 도메인 적응 |
2 | Paired data를 활용한 Deep learning 기반의 반도체 SEM영상 개선기법 연구 |
3 | 비정상 가버 청각 변환을 이용한 신경 스파이크 인코딩/디코딩의 음향 신호 압축 응용 연구 |
일정: 9.30 (금) 14:25-15:20, 16:40-17:40 (이삼봉홀) | |
No. | 포스터 spotlight 3 |
1 | 위치 정보 기반 논패러메트릭 자기 강조 연산을 활용한 보행자 검색 |
2 | Self-Supervised Structured Representations for Deep Reinforcement Learning |
3 | Road Segmentation utilizing Similarity between Depth Information and Segmentation Information |
4 | 메모리 네트워크를 활용한 의미론적 분할에서의 비지도 도메인 적응 기법 |
5 | 멀티 헤드를 이용한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
6 | 딥러닝 기반의 최신 차선 검출 기법의 분류와 접근 방식에 관한 연구 |
7 | 신경방사장 기반 3D GAN Inversion과 이미지 변환 – 카메라 레이블이 없는 환경을 중심으로 |
8 |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흉부 엑스선 영상에서의 갈비뼈 저감 |
9 | X-ray 영상 내 해부학적 랜드마크 자동 인식을 위한 딥러닝 기반 검출 모델 |
10 | 불확실성 기반 듀얼 도메인 저선량 X-ray CT 재구성 |
11 | 멀티 프레임 기반 딥러닝 네트워크를 활용한 X-ray Fluoroscopy 이미지 화질 개선 |
12 | 외부 환경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학습 데이터셋 소개 |
13 | 명도 강조 모듈을 이용한 저조도 이미지 화질 개선 |
14 | LET: Vision Transformer based Refinement Network for Light Field Editing |
15 | MediaPipe Hands Model을 이용한 손 다이얼 및 마우스 제스처 인식 방법 |
일정: 9.30 (금) 14:25-15:20, 16:40-17:40 (ECC 극장) | |
No. | 포스터 spotlight 4 |
1 | AMC 기반 Jamming Bandit의 Arm Choosing 기법 별 성능 분석 |
2 | FMCW 레이더와 인공지능을 이용한 중증 환자의 기상 탐지 |
3 | FMCW 레이더를 이용한 비 접촉식 수면 단계 탐지 |
4 | 웨이블릿 계수의 에너지 특징을 이용한 CNN 구조 기반 이중 가지 복사-이동 조작 검출 |
5 | 화자 검증을 위한 트랜스포머 다중 특징 결합 풀링 모델 |
6 | 트랜스포머 기반 한국어 인식 모델의 어린이 음성 성능 평가 |
7 | Wav2Vec 2.0 기반 임베딩을 활용한 한국어 음성감정인식 |
8 | 軍 운송수단 음향신호 분류를 위한 인공지능 모델 설계 및 비교 실험 |
9 | 음향신호 기반 비정상 기계작동 감지 시스템 |
10 | 납 활자의 3D 스캐닝 기법 분석 |
11 | 깊이 영상 추론 기반 3차원 휴먼 포인트 클라우드 복원 |
12 | 얼굴 표정 인식을 위한 데이터 증강기법 비교 |
13 | 균일성 유지를 통한 클래스 증분 학습 |
14 | 홀로그램 비디오 압축을 위한 딥러닝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복원 손실 함수 |
15 | 차등적 도메인 정렬을 통한 다중 소스 도메인 적응 물체 검출기 |
16 | Rendering for 3D Light Field composed of 360° Images |
* 포스터 spotlight 진행 예시 |
||
DAY 1 | ||
시간 | 일정 | 진행 사항 |
13:50-14:40 | 포스터 spotlight 1 - 구두 발표 | PPT 자료준비 논문당 3분씩 발표 |
15:40-16:10 | Break | 포스터 설치 (이삼봉홀 내부) |
17:10-18:10 | 포스터 spotlight 1 – 포스터 | 60분 동안 포스터 진행 |
(우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1관 907호)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1685/(사)대한전자공학회 대표 : 백광현
TEL. 02-553-0255~7/ FAX. 02-562-4753 /EMAIL. ieie@theieie.org
COPYRIGHT ⓒ IEI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