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행 사 명 | 제4회 반도체 산학연 교류 Workshop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
일 시 | 2021년 10월 27일(수) ~ 28일(목) |
장 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컨퍼런스룸(남) | 온라인 동시 진행 |
주 관 |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
주 최 | 대한전자공학회 소자및재료연구회 대한전자공학회 SoC설계연구회 대한전자공학회 RF집적회로연구회 한국반도체산업협회 |
후 원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LX세미콘 |
웹사이트 | http://sdcw4th.ieieweb.org |
초대의 글 성장기에는 핵심 부품이란 의미의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던 반도체가 시스템 반도체 시대에 접어들어 그 자체가 제품이며 시스템이 되었습니다. 2020년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액은 약 1천억달러로 전체 수출의 20%를 점유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역사적으로 처음 들어보는 반도체 부족 사태로 자동차 공장이 멈추었습니다. 2022년 부터는 세계 각국이 자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도록 무역장벽을 쌓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기차와 같은 미래 산업에서는 반도체 전쟁이 더욱 심화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이창한 부회장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조중휘 회장 제4회 반도체 산학연교류워크샵 대회장 서경대학교 이광엽 교수 |
대회장 | 이광엽 교수(서경대학교) 이창한 부회장(한국반도체산업협회) |
운영위원회 | 공준진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삼성전자) 김진상 교수 (경희대학교) 안기현 전무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조경순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조중휘 교수 (인천대학교) 최중호 교수 (서울시립대학교) |
프로그램위원회 위원장/부대회장 |
이희덕 교수(충남대학교) |
프로그램위원회 위원 |
김동규 교수 (한양대학교) 김형탁 교수 (홍익대학교) 노정진 교수 (한양대학교) 류현석 교수 (서울대학교) 민경식 교수 (국민대학교) 손교민 마스터 (삼성전자) 송준영 교수 (인천대학교) 이재성 교수 (고려대학교) 이한호 교수 (인하대학교) 조성재 교수 (가천대학교) |
조직위원회 | 박종선 교수 (고려대학교) 김지훈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고형호 교수 (충남대학교) 유병두 팀장(한국반도체산업협회) 김천일 차장(대한전자공학회) |
시간 | 내용 | 연사 |
09:00~09:55 | 등록 | |
09:30~11:15 (각 35분) |
공통주제 : Heterogeneous Integration(HI) | 좌장 : 공정택 교수 (성균관대) |
Semiconductor Technology Paradigm Shift toward Heterogeneous Integration | 김사라은경 교수 (서울과기대) | |
3D ICs: Benefits, Challenges, and Future Prospects | 임성규 교수 (조지아텍) | |
Partition of monolithic 2D (M2D) chip and Heterogeneous Integration (HI) | 송승철 박사 (퀄컴) | |
11:15~11:45 | 개회식 : 인사말 - 조중휘 반도체소사이어티 회장 축 사 - 공준진 대한전자공학회 회장, 산업통상자원부 |
|
11:45~12:45 | Industry Keynote Speech | 좌장 : 이광엽 교수 (서경대) |
파운드리 반도체 기술 전망 | 정기태 부사장(삼성전자) | |
12:45~14:00 | 점심 | |
14:00~15:45 (각 35분) |
공통주제 : 아날로그(Connectivity) | 좌장 : 고형호 교수 (충남대) |
Silicon Technologies for Metaverse (Sensing,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 | 김태욱 교수 (연세대) | |
Clock-Embedded C-PHY Signaling over Trio Wires | 전정훈 교수 (성균관대) | |
ADC Design in a Ultra Deep Submicron Process Technology | 안길초 교수 (서강대) | |
15:45~16:00 | 휴식 | |
16:00~17:45 (각 35분) |
공통주제 : 인공지능(PIM) | 좌장 : 김지훈 교수 (이화여대) |
PIM과 인공지능, 그리고 SKT가 만드는 AI 가속기 SAPEON | 정무경 팀장 (SKT) | |
Processing-in-Memory using HBM DRAM and the Next Step | 손교민 마스터 (삼성전자) | |
K-페타플롭스 NPU 개발 현황 및 칩렛 기반 PIM 아키텍처 | 권영수 박사 (ETRI) |
시간 | 내용 | 연사 |
10:00~11: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1 | 좌장 : 박종선 교수 (고려대) |
FPGA-based Hardware Accelerator Design for Lattice-based Post-Quantum Cryptography | 이한호 교수 (인하대) | |
PIM과 인공지능 | 구민석 교수 (인천대) | |
Cell-inspired mixed-signal VLSI: cytomorphic and neuromorphic approaches | 김재욱 박사 (KIST) | |
11:45~12:45 | Academic Keynote Speech | 좌장 : 이희덕 교수 (충남대) |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시스템용 핵심 CMOS 아날로그 ADC IP 연구 | 이승훈 교수 (서강대) | |
12:45~14:00 | 점심 | |
14:00~15: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2 | 좌장 : 김정근 교수 (광운대) |
휴대/소방용 인명탐지 레이더 센서개발 | 박필재 박사 (ETRI) | |
Advanced reconfigurable wideband electronics in SiGe BiCMOS tehcnology | 조문규 교수 (한국교통대) | |
준 테라헤르츠 대역 영상시스템을 위한 고감도 CMOS 단위 검출기 IC | 양종렬 교수 (영남대) | |
15:45~16:00 | 휴식 | |
16:00~17: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3 | 좌장 : 민경식 교수 (국민대) |
A CMOS RC frequency reference with 200ppm Inaccuracy from -40C to 80C | 채영철 교수 (연세대) | |
Implantable Bioelectronic Devices with Advanced IC Solutions | 이형민 교수 (고려대) | |
자동차 시스템용 60V four-mode buck-boost 파워 컨버터 설계 | 노정진 교수 (한양대) | |
18:00~18:10 | 폐회 |
시간 | 내용 | 연사 |
10:00~11: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1 | 좌장 : 김형탁 교수 (홍익대) |
Monolithic 3D for high-performance, low-noise mixed-signal IC | 김상현 교수 (KAIST) | |
Heterogeneously integrated III-V-on-silicon lasers | 박경철 박사 (ETRI) | |
Remote epitaxial growth of semiconductor membranes through graphene: From growth towards devices and applications |
이규상 교수 (버지니아대) | |
11:45~12:45 | Academic Keynote Speech | 좌장 : 이희덕 교수 (충남대) |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시스템용 핵심 CMOS 아날로그 ADC IP 연구 | 이승훈 교수 (서강대) | |
12:45~14:00 | 점심 | |
14:00~15: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2 | 좌장 : 장익준 교수 (경희대) |
Cross-point memristor array and its computing applications | 김형진 교수 (인하대) | |
Atomic layer deposition of high-k dielectrics for electronic devices with high-mobility channel materials | 오일권 교수 (아주대) | |
Specialty CMOS Image Sensor | 하만륜 상무 (DB하이텍) | |
15:45~16:00 | 휴식 | |
16:00~17:45 (각 35분) |
우수연구성과세션-3 | 좌장 : 김한구 교수 (삼성공과대) |
Feasible Strategies for Sub 3-nm Node: FinFETs vs. GAA Nanosheet FETs | 백록현 교수 (포항공대) | |
Self-tuning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s for standalone IoTs (사물인터넷 독립전원을 위한 셀프튜닝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 | 송현철 박사 (KIST) | |
디지털 환경 변화와 미래 메모리 기술 | 이세호 연구위원 (SK하이닉스) | |
18:00~18:10 | 폐회 |
회원 | 비회원 | |||
구분 | 일반 | 학생 | 일반 | 학생 |
사전등록 | 200,000원 | 80,000원 | 250,000원 | 100,000원 |
현장등록 | - | - | - | - |
등록마감 | 2021년 10월 25일(월) 오후 5시까지 |
결제 방법 | ㆍ온라인카드결제 및 계좌이체 |
입금계좌정보 | ㆍ입금계좌: 186-00027-241 한국씨티은행 ㆍ예금주: 대한전자공학회 |
참고청구문서 | ㆍ 대한전자공학회 사업자등록증 사본 (클릭 다운로드 -PDF) ㆍ 등록비 입금통장사본 (클릭 다운로드-PDF) |
등록방법 및 기타안내 |
ㆍ 본 워크샵(세미나)는 고용노동부 지원교육 환급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ㆍ 발표자료는 책자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파일(책자형태)로 제공됩니다. * 일부 발표자료가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결제방법 | 카드영수증 | 계산서(전자) | 거래명세서 |
카드결제 | 가능(온라인 출력) | 불가능(이중발급) | 기본발행 |
계좌이체무통장 결제 | 불가능 | 가능(전자) | 기본발행 |
지하철 | 2호선 삼성역 5,6번 출구 9호선 봉은사역 1,6,7번 출구 7호선 청담역 2번출구 |
|||||||||||||
버스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삼성역 5번 출구) 앞 (정류장 번호: 23201) 코엑스아티움(무역센터) 앞 (정류장 번호: 23199) 코엑스 동문 앞 (정류장 번호: 23198) 봉은사 건너편 (정류장 번호: 23191) 한국전력 앞 (정류장 번호: 23197) |
|||||||||||||
(우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1관 907호)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1685/(사)대한전자공학회 대표 : 백광현
TEL. 02-553-0255~7/ FAX. 02-562-4753 /EMAIL. ieie@theieie.org
COPYRIGHT ⓒ IEI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