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워크샵 진행이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하여 전면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
행 사 명 | 제 20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20th RF/Analog Circuit Workshop) |
일 시 | 2020년 9월 17일(목) ~ 19일(토) |
장 소 | ↓ 코로나-19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주 관 | 건국대학교/ ETRI |
주 최 | 대한전자공학회 RF집적회로연구회 |
공동주최 | 한국전자파학회 (마이크로파 연구회) Seoul Chapter of IEEE SSCS, EDS, CAS, MTT-s |
후 원 | 삼성전자, 실리콘웍스, SK하이닉스, 안리쓰코퍼레이션, 케이던스코리아, 에이디테크놀로지, 투와이시스템즈, 에스비솔루션, 실리콘마이터스 |
웹사이트 | http://rf20th.ieieweb.org |
사회적 거리두기의 2단계 재실시로 인해 모든 사회 구성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저희 워크샵도 사회 구성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전면 온라인 진행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올해 워크숍은 전면 온라인으로 진행을 하는 것으로 결정 되었습니다. 모든 발표는 전문업체를 통한 웹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될 예정이고, 온라인에서 질의 응답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합니다. 학생 포스터는 짧은 영상을 취합하여 스트리밍 송출을 할 계획으로 점심시간이나 휴식시간에 시청하실 수 있고, 후원해주시는 업체들에 대한 소개 영상 혹은 배너도 송출될 예정입니다. 비록 대면으로 만날수는 없겠지만 고품질의 기술 교류회라는 저희 워크샵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많은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워크샵 구성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 부탁 드립니다. |
초대의 글 COVID-19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전례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러한 위기속에서도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발전을 위해 학계와 산업계에서 노력하시는 회원님들께 큰 결실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최근 COVID-19의 확산과 이로 인한 예상치않은 비대면 문화의 폭발적인 성장을 되돌아보면, 반도체 기술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깨닫게 됩니다. 다중 사용자 화상 회의 시스템 구현을 가능하게 했던 고속 유무선 통신 회로 기술과 고성능 디지털 연산 회로 기술, 그리고 고화질 영상 송출을 저비용으로 구현 가능하게 하는 고해상도CMOS이미지 센서 기술과 마이크로폰 아날로그 회로 기술등 시스템 반도체 기술의 뒷받침이 없었다면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한 전지구적인 혼란은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컸을 것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반도체의 핵심이 되는 아날로그/RF 회로를 연구하는 여러분들의 역할은 그 누구보다 더 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생각해야 할 것은 현재 우리나라의 반도체 산업이 처한 기회와 위기입니다. 정부와 산학연에서는 오래전부터 시스템 반도체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이를 육성하는 대책을 마련하고 투자를 했으나 실제로 만족할 만한 결실을 맺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만의 TSMC사의 경우 2020년 1분기의 매출이 42%나 증가하여 사상 최고의 매출을 기록하였다고 하니,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수요는 여전히 충분하다고 생각되고 이는 우리나라의 팹리스와 파운드리 모두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저희는 국내의 가장 대표적인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워크샵으로서 미래의 응용분야를 발굴하고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연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국내 시스템 반도체 분야의 산학연에 종사하는 모든 구성원들의 성장에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올해로 본 워크샵은 20회를 맞게 되었습니다. 매해 꾸준히 200명이 넘는 전문가들과 학생들이 모여 열띤 기술적 토론을 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학회는 흔치 않은 것 같습니다. 올해도 시스템 반도체의 핵심 기술이 되는 RF/아날로그 회로의 최고 전문가들을 모시게 되었고, 이 분들의 강연이 여러분들께서 하시는 연구와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끝으로 워크샵을 준비해주신 연구회 운영위원분들과 대한전자공학회분들의 수고에 감사드리고, 특히 무엇보다 워크샵을 여러모로 지원해주신 후원사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풍성한 가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들 모두 땀 흘려 일하신 노력에 좋은 결실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운영위원장 김 진 태
RF 집적회로연구회 위원장 이 재 성 대한전자공학회 회 장 임 혜 숙 |
운영위원장 | 김진태 교수(건국대) | |
조직위원장 | 이재성 교수(고려대) | |
프로그램위원회 | 위원장 | 전정훈 교수(성균관대) |
위원 | 전동석(서울대), 서문교(성균관대), 한재덕(한양대) 천지민(금오공대), 이형민(고려대) |
|
학술위원회 | 위원장 | 이민재 교수(GIST) |
위원 | 김성진(UNIST), 배준성(강원대), 이규호(UNIST), 이옥구(부산대), 이인영(조선대), 변경수(인하대) |
|
산학협동위원회 | 위원장 | 변영재 교수(UNIST) |
재무위원회 | 위원장 | 박성정 교수(건국대) |
출판위원회 | 위원장 | 김현식 교수(KAIST) |
행사위원회 | 위원장 | 채형일 교수(건국대) |
상임운영 위원 | 김영진(항공대), 김진태(건국대), 김태욱(연세대), 남일구(부산대), 백동현(중앙대) 변영재(UNIST), 심대용(SK하이닉스), 유창식(한양대), 전현규(실리콘웍스) 최재혁(KAIST), 최정환(삼성전자, 산학협동부위원장), 현석봉(ETRI) |
|
자문위원 | 김범만, 정항근, 유현규, 이상국, 홍성철, 이창석, 신현철 | |
운영위원 | 강진구(인하대), 고범규(하이딥), 고진호(파이칩스), 구본태(ETRI), 구연우(삼성전자), 권구덕(강원대), 권영우(브로드컴), 권익진(아주대), 금용조(휴윈), 김도현(제주대), 김동희(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 김문일(고려대), 김범만(포항공대), 김병성(성균관대), 김보은(라온텍), 김본기(하이딥), 김석호(삼성전자), 김성동(KETI), 김수원(고려대), 김영석(충북대), 김영식(한동대), 김영진(항공대), 김재영(ETRI), 김재준(UNIST), 김정근(광운대), 김정현(한양대), 김종선(홍익대), 김주성(한밭대), 김준오(㈜유컴테크놀러지 보이스캐디™), 김진태(건국대), 김창완(동아대), 김철영(충남대), 김태욱(연세대), 김택수(동부하이텍), 김학선(삼성디스플레이), 김현식(KAIST), 김형원(충북대), 김환철(코메스타), 남상욱(서울대), 남일구(부산대), 류성한(한남대), 류승탁(KAIST), 맹성재(21세기특허), 문용(숭실대), 문현원(대구대), 민병욱(연세대), 박광일(삼성전자 DRAM설계팀), 박문양(ETRI), 박병하(삼성전자), 박봉혁(ETRI), 박상규(한양대), 박성경(부산대), 박성민(이화여대), 박성범(매그나칩), 박성정(건국대), 박영진(페타리), 박재영(한동대), 박재형(단국대), 박준배(아나패스), 박진호(테라스퀘어), 박창근(숭실대), 박창일(아이앤씨테크놀로지 ), 박철순(KAIST), 박필재(ETRI), 박형철(서울과기대), 배준성(강원대), 백동현(중앙대), 범진욱(서강대), 변영재(UNIST), 변철우(원광대 ), 서철헌(숭실대), 손영석(실리콘웍스), 송원철(아날로그칩스), 송익환(광운대), 신용석(케이던스코리아), 신진호(아이앤씨테크놀로지 ), 신현철(광운대), 신형철(서울대), 심규환(전북대), 심대용(SK하이닉스), 심동하(서울과기대), 심상훈(충북대학교), 심재윤(포항공대), 안광호(KETI), 양영구(성균관대), 양종렬(영남대), 어윤성(광운대), 오남진(한국교통대), 오대일(AP위성통신), 오태현(광운대), 왕성호(네메시스), 우두형(가톨릭대), 유창식(한양대), 유현규(ETRI), 유현길(안리츠코리아), 유형준(KAIST), 윤경식(고려대), 윤태열(한양대), 윤호권(삼성전기), 이강윤(성균관대), 이경호(ETRI), 이광천(ETRI), 이귀로(KAIST), 이동호(한밭대), 이문규(서울시립대), 이민재(GIST), 이상국(KAIST), 이상엽(아이앤씨테크놀로지), 이성수(기가레인), 이성현(한국외국어대), 이성호(KETI), 이영철(경남대), 이영택( LG전자), 이옥구(부산대), 이원상(나노이엔에스), 이윤식(UNIST), 이윤종(동부하이텍), 이재성(고려대), 이재진(텔트론), 이정철(아이앤씨테크놀로지), 이종열(FCI), 이종욱(경희대), 이진구(동국대), 이창석(한밭대), 이해영(아주대), 이형민(고려대), 임광현(매그나칩), 임규현(에프씨아이), 임동구(전북대), 임신일(서경대), 임재윤(제주대), 전계익(알에프코어), 전국진(서울대), 전상근(고려대), 전정훈(성균관대), 전현규(실리콘웍스), 정기웅(아바고테크놀로지), 정민수(라온텍), 정용채(전북대), 정지채(고려대), 정진성(서울시립대), 정진호(서강대), 정항근(전북대), 정해수(시높시스코리아), 제민규(KAIST), 조병학(삼성전자), 조성환(KAIST), 조춘식(항공대), 차혁규(서울과기대), 채영철(연세대), 채형일(건국대), 최병덕(한양대), 최재혁(KAIST), 최정욱(한양대), 최정환(삼성전자DRAM설계팀), 최준림(경북대), 최중호(서울시립대), 최진영(홍익대), 한대근(실리콘웍스), 한상우(FCI), 한재덕(한양대), 한정환(충남대), 현석봉(ETRI), 호요철(LG전자), 홍성철(KAIST), 황명운(FCI), 황신환(삼성전기), 황인철(강원대) |
포스터 논문모집 안내 |
● 전문가 중심의 워크샵과 병행하여 학생 중심의 연구성과 발표 및 지식 교류의 장으로서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학생 포스터 논문을 모집합니다. ● 6편의 개별 우수 논문 시상과 함께, 우수한 논문을 다수 발표한 2개의 연구실에 우수연구실상이 수여되므로 논문 투고에 많은 참여 바랍니다. ● 논문분야 ○ RF/아날로그 IC 설계 ○ RF/아날로그 시스템 설계 ○ RF 공정/소자/모델링/MEMS/CAD ○ Bio/Energy/환경/영상처리 등 융합분야 ○ Millimeter-wave IC 설계 ○ 기타 RF/아날로그 IC 관련 분야 ● 논문 발표 형식 : 포스터 발표 ● 논문 제출 세부 내용 ○ 논문 제출 마감 : ○ 논문 제출 형식 (아래 두 가지 형식 중 택1 하여 PDF로 제출): - 별도 공지된 MS Word 양식으로 A4용지1쪽 2~300단어 Text Abstract 【 다운로드 】 - 별도 공지된 MS Word 양식으로 A4용지1쪽 2 컬럼 paper 【 다운로드 】 ○ 우수 논문 시상 : - 총 6편의 우수 논문 시상 - 전자공학회장상, 연구회장상, 운영위원장, IEEE Seoul Chapters of SSCS, CAS, MTT 상 - 논문 제출 형식에 상관없이 모든 제출 논문이 심사 대상 ○ 우수 연구실 시상 - 최다 논문 제출 2개 연구실 시상 - 최우수연구실상, Rising Research Award상 ○ 논문 제출 방법 : paper.rfworkshop@gmail.com 로 email 제출 ○ 논문 선정 결과 통보 : ○ 논문투고 관련 문의처 : 이민재 교수(GIST) minjae@gist.ac.kr ● 논문 제출 자격 ○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에 소속된 모든 학생 및 연구원 (학부생 포함) |
구분 | 참석 형태 | 일반 | 학생 |
Early bird (9월 14일까지연장) | 온라인 참석 | 260,000원 | 140,000원 |
After (9월 14일) | 온라인 참석 | 280,000원 | 160,000원 |
사전등록마감 | |
결제 방법 | ㆍ온라인카드결제 및 계좌이체 |
입금계좌정보 | ㆍ입금계좌: 186-00407-253 한국씨티은행 ㆍ예금주: 대한전자공학회(실리콘RF) |
참고청구문서 | ㆍ 대한전자공학회 사업자등록증 사본 (클릭 다운로드 -PDF) ㆍ 등록비 입금통장사본 (클릭 다운로드-PDF) |
등록방법 및 기타안내 |
ㆍ 워크샵 사이트의 사전등록신청서를 작성한후 카드 또는 이체로 결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무료대상은 추가로 결제가 필요치 않습니다. (무료대상 선택후, 정보등록만으로 등록완료) ㆍ 무료등록 대상 안내 * 워크샵 무료등록 대상 1) 워크샵 후원업체 : 100만원 후원 당 1인 면제 2) 전시 및 워크샵 준비만을 위해 참가하는 후원업체 담당직원 3) 특별초청인사 (별도 개별안내) ㆍ 기타 문의에 대하여 E-mail(webmaster@theieie.org)을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행사장 당일 현장에서 카드결제가 가능합니다. |
결제방법 | 카드영수증 | 계산서(전자) | 거래명세서 |
카드결제 | 가능(온라인 출력) | 불가능(이중발급) | 기본발행 |
계좌이체무통장 결제 | 불가능 | 가능(전자) | 기본발행 |
ㆍ 담 당: 대한전자공학회 김천일 차장
ㆍ 연락처 : 02-553-0255 (내선1번) / 팩스 : 02-552-6093
ㆍ 이메일 : webmaster@theieie.org
사전등록 신청 및 확인 페이지로 이동(클릭)
11:00~12:30 ■ Technical Session 1: AI를 위한 회로/시스템 기술 1. Challenges of Building AI chips driving future applications 2. An Approximate DRAM for High Performance and Energy Efficient Deep Learning 3. Efficient Deep Learning Techniques for On-Device Audio/Image Applications |
좌장 : 전동석 교수(서울대) 백준호 대표(Furiosa) 장익준 교수(경희대) 고종환 교수(성균관대) |
12:30~14:00 ■ LUNCH BREAK | |
14:00~15:30 ■ Technical Session 2: 밀리미터/테라헤르츠 집적회로 1. 나노 CMOS 기반의 고출력 서브테라헤르츠 신호원 개발 2. A Design Status of W-band and sub-Terahertz Building Blocks in CMOS 3. A CMOS millimeter Wave to Sub-Terahertz Signal Generation |
좌장 : 서문교 교수(성균관대) 홍종필 교수(충북대) 박정동 교수(동국대) 강동우 박사(ETRI) |
15:30~15:45 ■ COFFEE BREAK | |
15:45~16:30 ■ Poster Session ∙ 포스터/논문 발표 |
좌장 : 이민재 교수(GIST) |
16:30~17:20 ■ Plenary Session ∙ A Perspective on Analog AI Circuits and Systems |
좌장 : 전정훈 교수(성균관대) 유현규 박사(ETRI) |
17:20~18:00 ■ 개회식 ∙ 개회사 ∙ 환영사 ∙ 축 사 ∙ 20주년 축하 메시지 동영상 상영 |
사회 : 채형일 교수(건국대) 김진태 운영위원장 RF 집적회로연구회 이재성 위원장 대한전자공학회 임혜숙 회장 |
09:15~10:45 ■ Technical Session 3: Data Converters & High-Speed Links 1. Towards Energy Proportional Communication Links 2. Evolution and Change of interface scheme from DDR4/LP4 to DDR5/LP5 3. ADC Desig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좌장 : 한재덕 교수(한양대) 최우석 교수(서울대) 정해강 수석(하이닉스) 성바로샘 책임(삼성전자) |
10:45~11:00 ■ COFFEE BREAK | |
11:00~12:30 ■ Technical Session 4: Imaging and Sensor Systems 1. Design of Reconfigurable Touch Sensor Interfaces for Advanced Displays 2. Technology Trends and Innovations for State-of-the-Art CMOS Image Sensors 3. Multi-channel SPAD-integrated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Sensor |
좌장 : 천지민교수(금오공대) 박준은 교수(충남대) 서민웅 수석(삼성전자) 최재혁 교수(성균관대) |
12:30~13:45 ■ LUNCH BREAK | |
13:45~14:35 ■ Special Lecture on Emerging Topic ∙ Event-Driven Modeling and Simulation of 5G RF Transceivers in SystemVerilog |
좌장 : 전정훈 교수 (성균관대) 김재하 교수(서울대) |
14:35~16:05 ■ Technical Session 5: Power Management Techniques 1. 무선전력전송 송수신 IC 설계 동향 2. IoT를 위한 소형 저전력 switched-capacitor 전력변환 회로 3. Power Conversion Circuits for Mobile Devices |
좌장 : 이형민 교수(고려대) 이강윤 대표이사(㈜스카이칩스) 정완영 교수(KAIST) 홍성완 교수(숙명여대) |
16:05~16:15 ■ COFFEE BREAK | |
16:15~17:45 ■ Technical Session 6: Wireless and RF Systems 1. 無효소, 無형광, 無채혈 방식의 3세대 실시간 연속혈당측정시스템 2. 2-Way Hybrid Phased-Array Solution for 5G mmWave Applications 3. 5G mmWave Antenna Module for Mobile Devices |
좌장 : 이민재 교수(GIST) 변영재 대표이사(㈜에스비솔루션) 김우년 연구위원(삼성전자) 김상길 교수(부산대) |
17:45~18:30 ■ 폐회식 ∙ 폐회사 ∙ 우수포스터논문 시상 |
사회 : 김진태 교수(건국대) RF집적회로연구회 이재성 위원장 이민재 학술위원장 |
10:00~12:00 ■ RF/아날로그 회로 포럼 ∙ 참석대상 : 연구회 전문위원 전체 |
RF 집적회로연구회 |
올해 워크숍을 오프라인+온라인으로 진행하려고 하였으나 COVID-19 확산으로 인하여 |
개최년도 | 행사명 | 일시 | 장소 |
제1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
2001 | 제2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1. 7.3 – 4 | 천안 상록리조트 |
2002 | 제3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2. 8.19 – 20 | 천안 상록리조트 |
2004 | 제4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4. 8.17 – 18 | 천안 상록리조트 |
2005 | 제5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5. 9.29 – 30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06 | 제6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6. 9.21 – 22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07 | 제7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7. 9.13 – 15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08 | 제8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8. 9.4 – 6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09 | 제9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09. 9.17 – 19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0 | 제10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10. 9.9 – 11 | 제주 신라호텔 |
2011 | 제11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11. 9.22 – 24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2 | 제12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12. 9.20 – 22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3 | 제13회 RF 집적회로 기술 워크샵 | 2013. 9.26 – 28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4 | 제14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4. 9.18 – 20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5 | 제15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5. 9.17 – 19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6 | 제16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6. 9.8 – 10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7 | 제17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7. 9.21 – 23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8 | 제18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8. 9.13 – 15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2019 | 제19회 RF/아날로그 회로 워크샵 | 2019. 9.19 – 21 | 제주 라마다 프라자 호텔 |
(우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역삼동, 과학기술회관 1관 907호)
사업자등록번호 : 220-82-01685/(사)대한전자공학회 대표 : 백광현
TEL. 02-553-0255~7/ FAX. 02-562-4753 /EMAIL. ieie@theieie.org
COPYRIGHT ⓒ IEIE ALL RIGHTS RESERVED.